소셜 커머스 판매자가 부담하는 매출 구간별 서버 비용입니다. 대표적으로 쿠팡, 티몬, 위메프의 경우에는 판매자에게 서버 비용을 요구하는데요. 소셜커머스 마다 각자 다른 용어이지만 ‘플랫폼 이용료’ 등의 단어로 표현합니다. 서버 비용은 판매건당 부과되는 수수료와는 별도로 계산되는 금액입니다.
보통 매출이 낮은 구간에는 별도의 서버비가 들지 않습니다. 향후 매출이 늘어나면 한 달 매출액에 따라 서버 비용이 발생하게 됩니다. 한마디로 플랫폼에서 많이 판매할 거면 월세를 내라 정도로 이해해볼 수도 있겠습니다.
일반적으로 매출 구간에 따라서 판매자가 부담해야하는 비용이 다른데요. 따라서 본인의 매출액과 마진 및 플랫폼 이용 수수료를 잘 감안해서 소셜 커머스 진출을 생각해보셔야 합니다. 대표적인 소셜 커머스 3사의 서버비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셜 커머스 별 판매자 서버 비용
쿠팡 판매자 부담 금액
쿠팡에서는 ‘서버운용 수수료’로 표현을 합니다. 상대적으로 다른 소셜 커머스와 비교해보면 단순하게 계산이 됩니다.
매출 구간 | 서버운용수수료 |
100만원 미만 | 없음 |
100만원 이상 | 월 55,000원 |
매월 매출액이 100만원이 넘어가면 55,000원의 서버비가 비용으로 나가게 됩니다. 계산은 월 단위로 계산하며, 해당 비용은 부가세 포함된 금액입니다.
티몬 판매자 부담 금액
매출 구간 | 플랫폼 이용료 |
20만원 미만 | 없음 |
20만원 이상 – 2천만원 미만 | 월 99,000원 |
2천만원 이상 – 1억원 미만 | 월 990,000원 |
1억원 이상 – 5억원 미만 | 월 2,990,000원 |
5억원 이상 | 월 4,990,000원 |
티몬에서는 ‘플랫폼 이용료’라는 단어로 표현합니다. 정산금에서 차감 후 지급이 되는 방식으로 나갑니다. 플랫폼 이용료는 월 단위로 지불하는 금액이며, 부가세 포함된 모든 금액입니다.
위메프 판매자 부담금액
매출 구간 | 서버이용료 |
100만원 미만 | 없음 |
100만원 초과 – 2천만원 이하 | 월 99,000원 |
2천만원 초과 – 1억원 이하 | 월 990,000원 |
1억원 초과 – 5억원 이하 | 월 2,990,000원 |
5억원 초과 | 월 4,990,000원 |
위메프에서는 ‘서버이용료’로 표현을 합니다. 매출액의 기준은 배송 완료 금액을 기준으로 판단합니다. 위메프 역시 아이디 당 월 단위로 나가게 되는 비용입니다.
서두에 언급한 것과 마찬가지로 소셜 커머스에서 판매를 하면서 매출이 점점 늘어나게 되면 일정 구간을 넘어서는 순간에는 주문 건당 수수료, 서버비, 종소세 떼고 나면 마진이 사실상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소셜커머스 시장은 애초에 판매건당 수수료도 오픈 마켓에 비해서는 많은 편이기도 하기에 진입 전 어느 정도 고민이 필요한 시장입니다.
따라서 쿠팡, 티몬, 위메프에서는 본인이 판매하는 매출 구간에 따라 마진 설정을 잘 하셔서 활동하시길 바랍니다.
온라인 판매자로 활동하신다면 다양한 플랫폼 스토어별 정보를 관련 카테고리에서 확인하실 수 있으니 참고하시어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