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마켓별 서버 이용료 총정리

온라인 마켓별 서버 비용 알아보도록 할게요. 온라인 셀러 분들이라면 반드시 알아둬야 할 사항 중 하나가 서버 비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서버 이용료, 등등 오픈 마켓, 스토어 별로 다양한 용어로 이야기를 하지만 결론적으로는 많이 팔면 추가적으로 부과되는 요금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서버 비용과 판매 수수료는 별개의 개념입니다.

초보 셀러 분들의 경우에는 서버 비용은 큰 부담은 아닌데요. 매출 구간이 일정 이상이 되어야 부과되는 부분이 많기 때문에 내 스토어가 매출이 거의 없다 싶은 분들은 서버 비용이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들어서 많은 마켓에서 서버 이용료를 추가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셀러 분들도 발맞춰서 알아둬야 할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반면에 판매가 많은 분들에게는 생각보다 큰 금액이 들 수도 있는 사항입니다. 그러니 이 부분도 참고해서 마진 설정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럼 마켓별 서버 비용을 한 번 보도록 할게요.

온라인 마켓별 서버 비용

네이버 스토어없음
지마켓.옥션500만원 이상 판매-55,000원
11번가500만원 이상 판매-77,000원
인터파크20~300만원-30,000원
300~1,000만원-90,000원
1천만원~1억원-290,000원
1억원~5억원-990,000원
5억원~ – 4,990,000원
롯데온500만원 이상 판매-55,000원
톡스토어없음
쿠팡100만원 이상 매출-55,000원
위메프아래 글 내용 참고
티몬아래 글 내용 참고

서버이용료가 없는 마켓은 네이버, 톡스토어 뿐입니다. 특히나, 네이버 스토어는 매출도 잘 나오는 마켓이고 상품 판매 상대적으로 수수료도 낮은 편입니다. 더욱이 상품 등록 숫자도 상당히 많은 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네이버는 꼭 잘 잡고 가는게 좋다고 생각해요. 참고로 일반적으로 서버 이용료는 월 단위로 부과되는 금액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다른 마켓별 특징들을 간단히 보도록 할게요.

ESM PLUS-지마켓/옥션 서버이용료

지마켓, 옥션은 500만원 이상 판매부터 월 55,000원(VAT 포함 금액)이 부과됩니다.

ESM-서버이용료

24년 6월부터 시작되었으며 서버이용료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요. 500만원의 기준은 상품판매대금(배송비 제외)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서버이용료는 판매 예치금으로 차감이 되기 때문에 별도로 계산을 할 필요는 없이 판매되는 부분에서 알아서 계산되어 나가게 됩니다.

11번가 서버이용료

11번가에서도 “서버이용료”라고 표현하는데요. 판매 금액 500만원 이상부터 월 77,000원(VAT 포함) 입니다.

2024년 2월부터 시작된 비용으로 전월 구매확정액을 기준으로 산정됩니다. 결제 방식은 셀러캐시에서 차감이 되기 때문에 해당되는 부분이 있다면 셀러캐시를 충전해두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인터파크 서버이용료

인터파크에도 서버이용료가 있습니다. 인터파크에는 서버이용료 구간이 다른 마켓에 비해 세분화되어있습니다.

인터파크-서버이용료

인터파크는 20만원 부터 서버 이용료가 부과되는 등 최소 기준점이 상당히 낮게 시작합니다.

롯데온 서버이용료

롯데온에도 서버이용료는 500만원 이상 판매부터 월 55,000원의 비용이 나가게 됩니다. 500만원은 구매 확정 상품 판매 금액으로 산정됩니다.

롯데온-서버이용료

예치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매월 말일날 부과가 되는데요. 월말에 예치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마이너스 예치금이 발생할 수도 있어요.

쿠팡부터는 앞서 본 마켓들과는 달리 소셜커머스로 분류가 됩니다. 물론 티몬과 위메프는 현재 판매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그래도 한 번 확인해보도록 할게요.

쿠팡 서버 이용료

쿠팡은 월 거래액 100만원 이상 부터 55,000원이 부과됩니다.

티몬 플랫폼 이용료

티몬에서는 “플랫폼 이용료”라고 표현을 하는데요. 인터파크와 마찬가지로 구간이 많고 많이 팔수록 부과되는 금액도 상당합니다. 더욱이 최소 부과되는 기준점이 매우 낮기 때문에 티몬은 조금만 팔아도 서버비용에 대해 생각을 하기 시작해야합니다.

~20만원X
20~2,000만원99,000원
2천~1억원990,000원
1억~5억원2,990,000원
5억원~4,990,000원

앞서 언급한대로 매출이 20만원 이상이 되면 부과가 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다른 플랫폼에 비해서 서버비를 내기 시작하는 시점이 빠를 수 있습니다. 정산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지불합니다.

위메프 서버 이용료

위메프에서는 서버이용료라고 부릅니다. 최소 부과되는 기준점이 티몬 보다는 높습니다.

~100만원X
100~2,000만원99,000원
2천~1억원990,000원
1억~5억원2,990,000원
5억원 ~4,990,000원

매출 최소 구간은 100만원 부터 시작이 됩니다. 물론 이것도 다른 오픈 마켓에 비해서는 낮은 편이지만 티몬과 비교하면 그나마 조금은 높기는 합니다.

그렇기에 티몬과 위메프는 진입 시에 이 부분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향후 티메프가 정상화 된다면 어느 정도 변동이 있겠지만, 현재는 이렇게 정책이 되어있어요.

서버 이용료는 신설되는 마켓이 많기 때문에 해당 판매자 센터의 공지사항을 자주 체크하는 습관을 가지면 좋습니다. 셀러 분들은 위 사항을 참고하시어 기본적으로 인지하고 스토어를 운영해나가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