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판매자 부가세 신고 방법

온라인 판매자 부가세 신고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매년 1월, 7월은 부가가치세를 신고하는 달입니다. 올해도 1월이 되면서 부가세 신고를 했습니다. 제가 신고한 업종과 업태는 도소매업 / 전자상거래 통신판매업입니다. 부가세 신고를 대행해주는 업체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그렇게 큰 매출이 나는 것도 아니라 셀프로 신고를 했는데요. 부가세 신고하는 과정을 처음부터 끝까지 한 번 기록해보도록 하겠습니다. 부가세는 간단히 말해서 매출액 – 매입액의 차액을 계산해서 많으면 세금을 낸다고 간단히 이해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과정은 크게 3단계로 구분이 됩니다. 1. 매출내용 정리 2. 매입내역 정리 3. 홈택스에서 신고 이렇게 3가지로 크게 구분해볼 수 있는데요. 저는 스마트스토어, 쿠팡, ESM(지옥션), 11번가, 인터파크, 롯데온, 톡스토어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위탁 판매로 도매처에서 물품을 매입해오는데요. 그래서 셀러로 활동하고 있는 쇼핑몰 플랫폼 별로 매출 내용과 매입 내용을 잘 정리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말로만 들으면 이거 언제 다해… 하지만 하루 날 잡고 차근차근 따라서 해보시면 시간만 들지 어려운 건 아니라 혼자서도 충분히 해 볼만 하실 거에요.

참고로 부가세 신고는 홈택스에서 06:00 ~ 24:00까지입니다. 그래서 새벽에는 할 수가 없다는 점을 기억해 두셔야 합니다. 낮에 시간을 잡고 자료를 정리하는 작업할 시간을 갖는 게 좋습니다. 너무 마감 임박해서 하시면 실수할 수도 있으니 시간 날 때 미리 해두시길 바랍니다. 처음 신고를 하는 분들이라면 도움이 되는 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온라인 판매자 부가세 신고 과정 A to Z

1. 매출 내역 정리

우선 모든 마켓별로 매출 내역을 정리해주었습니다. 기본적으로 각각의 스토어 별로 부가세신고 메뉴가 있습니다. 각각의 스토어별 부가세 신고용 매출 자료를 확인하는 곳은 정리해두도록 할게요.

스마트스토어[정산관리] – [부가세 신고 내역]
쿠팡[정산] – [부가세 신고 내역]
ESM(지마켓,옥션)[정산관리] – [부가가치세 신고 내역]
11번가[정산관리] – [부가세신고내역]
인터파크[정산관리]-[세무관리]-[판매대행신고내역]
롯데온[정산관리]-[부가세신고자료조회]
톡스토어[정산관리]-[부가세신고 내역]

보통은 정산 메뉴는 좌측에 있고 메뉴를 열면 부가세 관련된 워딩을 찾아서 여시면 됩니다. 매출 자료 정리하면서 각 스토어별 어떤 식으로 했는지 보겠습니다. 스토어 별로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분기별 / 연단위로 조회가 가능합니다. 저는 간이과세자라 1년 치를 조회했지만, 해당 사업자를 7월에 낸 지라 상반기는 없이 했습니다. 참고로 기존에 다른 사업자의 경우에는 상하반기 자료가 모두 있었지만 자료를 입력할 때 숫자가 커지면 실수가 생기기 마련이기에 상반기 하반기 나누어서 자료를 해뒀습니다. 상/하반기 해서 매출을 정리하는 게 신고할 때도 편한 것 같습니다.

스마트스토어 자료 정리

스마트스토어 자료 정리


스마트스토어는 해당 메뉴로 들어가시면 기간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스스는 간이 과세자라 1년치를 한 번에 하는 경우는 1년 치도 한번에 조회가 가능합니다.

스마트스토어 자료 정리


우측 상단에 위치한 [월별내역다운]을 눌러 엑셀 파일로 다운받아둡니다. 부가세 관련 내역해서는 스스도 그렇고 파일에 비밀번호가 없습니다.

쿠팡 자료 정리

쿠팡에서도 비슷하게 정산 – 부가세 신고 내역에서 검색을 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을 선택하시고 검색하면 월별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쿠팡 자료 정리

마찬가지로 우측 상단 엑셀 파일을 다운받아둡니다.

ESM(지마켓, 옥션) 자료 정리

지마켓과 옥션은 사실상 똑같은 방법인데요. 하나 달랐던 점은 옥션은 엑셀 파일이 제공되지 않는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 옥션은 엑셀에 직접 복붙해서 자료를 만들었습니다.

옥션 자료 정리

[정산관리]-[부가가치세 신고 내역]으로 가시면 위에 옥션/지마켓 탭이 보입니다. 각각 원하는 기간을 입력해서 내역을 불러왔습니다.

지마켓 자료 정리

옥션은 개별적으로 Ctrl C,V를 해서 만들었지만 지마켓을 우측 상단에 [엑셀다운]을 해서 정리해 둘 수 있었습니다.

11번가 자료 정리

11번가 자료 정리

11번가는 특별할 것 없이 일반적인 형태로 [정산관리] – [부가세신고내역] 에서 조회기간을 설정 후 [엑셀다운로드]를 해서 엑셀 파일로 받아두었습니다.

인터파크 자료 정리

인터파크 자료 정리

인터파크는 ‘부가세’라는 단어가 없어서 좀 헤멨는데, 검색해보니 [판매대행신고내역]이 부가세 신고할 때 매출 자료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여기서 조회기간을 선택해서 우측 상단 [엑셀 다운로드]를 했습니다.

롯데온 자료 정리

롯데온 자료 정리

롯데온은 [정산관리] – [부가세신고자료조회] 에서 조회기간을 선택한 후 내역을 확인하시고 우측 상단에 있는 엑셀 아이콘을 클릭하면 전체 표를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상세보기 다운로드는 월 자료인데, 다른 마켓도 마찬가지로 월자료가 있는 곳도 있지만 신고 시에 필요하지 않는 자료니 굳이 다운받을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톡스토어 자료 정리

톡스토어 자료 정리

톡스토어는 상단 메뉴바에 [정산관리] – [부가세신고내역]을 들어가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톡스토어 자료 정리

톡스토어는 최대 6개월까지 조회가 가능해서 상반기 / 하반기 나누어 자료를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매출 기간을 설정하고 검색한 뒤 Excel 버튼을 클릭하면 자료를 다운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 다른 스토어가 있다면 비슷한 경로를 찾아서 매출을 집계하실 수 있을 겁니다. 쭉 보면 아시겠지만 다 비슷비슷해요.

그리고 난 후 각각의 매출 자료를 한 곳에 모아서 이런 식으로 정리를 해주었습니다.

매출 내역 정리


각각의 스토어별로 정리를 해두었고 매출 신고를 할 때 작성하게 될 항목들로 추려서 합계를 작성해두었습니다.

매출 총합 표

참고로 신고할 때는 신용카드 / 현금영수증(소득공제 + 지출증빙) / 기타 이렇게 3가지로 나뉩니다. 그렇기에 스토어 별로 나타나는 이 외의 항목은 3개 중 하나에 합산해서 계산해야하는데요. 휴대폰 결제는 기타 항목에 더하시면 됩니다.

핸드폰 결제는 기타 항목으로 그리고 선불전자결제(옥션, 지마켓)는 어디로 넣어야 할지 몰라 따로 빼두었지만, 지식인에 물어보니 기타 항목으로 넣으라고 세무사가 답변 달아줬습니다.

이렇게 해서 첫번째 과정인 매출자료가 끝이 났습니다. 글이 너무 길어질 것 같지만 사실 매출 항목이 가장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나머지 매입자료는 다행히도(?) 홈택스에서 불러오기 누르면 다 정리되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2. 매입 내역 정리

매출 내역과는 달리 매입 내역은 홈택스에서 자동으로 불러올 수 있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조회

[전자(세금)계산서 조회] – [합계표.통계 조회] – [전자(세금)계산서 합계표 조회] 로 들어갑니다.

분기 선택 후 매입 내역 조회

상단 구분에서 매입을 선택하시고 작성일자는 분기별을 선택. 1기(1월~6월), 2기(7월~12월)를 선택해줍니다. (예정+확정)을 선택해야 합니다. 조회하기를 누르면 해당 분기별로 매입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요약이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가액 / 세액 / 합계 표를 만들어 엑셀로 정리해주었습니다.

매입 자료 정리

해당 사업자의 경우에는 카드 매입이 없어서 별도로 하지 않았지만, 카드 매입이 있는 경우에는 카드 매입도 잡아주셔야합니다. 카드 매입은 해당 포스팅을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매출 / 매입 자료를 모두 정리했습니다. 그럼 이제 신고만 하면 됩니다.

3. 홈택스에서 신고

홈택스 홈페이지에서 로그인합니다.

홈택스 사업장 선택

로그인 후 상단에 사업장 선택을 눌러 신고를 원하는 사업자로 전환해주세요.

부가가치세 신고 화면


그리고 상단 메뉴에서 [세금신고] – [간이과세자] – [정기신고(확정/예정)] 으로 들어갑니다. 일반 과세자라면 일반 과세자에서 들어가면 될 것 같습니다.

사업자등록번호 확인

사업자 화면이 나오고 사업자 등록 번호 옆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 사업자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저장 후 다음.

업종 선택

업종을 선택하는 화면에서 ‘소매업’을 선택합니다. 전자상거래 소매업도 소매업에 속한다고 합니다. 그냥 온라인 셀러는 소매업을 선택하시면 됩니다. 저장 후 다음.

단일 업종 확인

단일 업종 선택하셨습니다. 팝업 창이 뜨는데 확인을 눌러줍니다.

이제 정리해두었던 자료들을 입력 해주시면 됩니다. 위에 섹션이 매출이고 아래 섹션이 매입입니다.

매출 내역 입력 작성하기


신용카드 매출전표등 발행금액 집계표 옆에 있는 [작성하기]를 눌러서 매출 내역을 입력해주시면 됩니다.

매출 내역 입력


앞서 이야기드린대로 카드 / 현금 / 기타 이렇게 3가지로 구분이 되는데요. 여기서 카드는 카드, 현금은 소득공제 + 지출증빙 합계, 기타에는 기타 + 선불전자결제 + 쿠폰 + 핸드폰 결제 합계를 작성해주었어요. 그리고 입력 완료.

매입내역 작성하기


매입 내역을 입력해줍니다. 매입 내역은 매입처별 세금계산서 합계표 [작성하기]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매입 내역은 자료 정리할 때와 마찬가지로 별도로 입력할 것이 없습니다.

전자세금계산서 불러오기


전자세금계산서 불러오기를 누르면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입력 완료.

매출 매입 초과 팝업 확인


매출, 매입이 모두 작성되고 나면 입력완료를 눌러줍니다. “귀하의 공제세액이 매출세액을 초과합니다.” 팝업창이 뜨는데 확인을 눌러줍니다.

최종 금액 확인 페이지


그리고 난 다음 입력했던 내용들이 쭉 나옵니다. 다시 한 번 엑셀 자료와 대조해보면서 틀리게 입력된 숫자는 없는지 확인해줍니다. 확인하시고 맞다하면 [신고서 입력완료]를 누르면 됩니다.

신고서 제출하기


그러면 최종 납부할(환급받을) 세액은 얼마라고 나옵니다. 저는 0원이네요. [신고서 제출하기]를 눌러주세요.

신고자 본인 확인 페이지


그리고 난 뒤 신고자 본인(세무대리인)이 직접 확인하였습니다. 체크박스에 체크를 해주시고 [닫기]를 눌러줍니다.

그러면 부가세 신고가 끝이 나게 됩니다. 신고가 잘됐는지 확인을 해보기 위해서는 신고내역 조회에서 다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부가세 신고가 과정이 길고 복잡해보이지만 어려울 게 없이 매출 내역, 매입 내역만 잘 정리하면 어려울 것이 없습니다.

온라인 판매자 부가세 신고 기간 내에 잘 신고하시어 문제가 없도록 하시길 바랍니다. 올해는 셀러의 경우 부가세 납부 기간을 연장해주어, 납부 마감 기한이 연장이 되었지만, 신고는 정해진 일자 내에 해야한다고 합니다. 부가세 신고를 늦게 하면 가산세가 나오니 신고는 정해진 기한 내에 꼭 하셔야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며 매출이 높아 다음엔 세금도 내보고 싶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