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체국 택배 반품 보내는 방법/반송장 확인 방법

우체국 택배 반품 보내는 방법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온라인으로 물건을 구입하는 경우 반품을 직접 해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혹은 판매자 입장에서 별도의 계약까지는 되어있지 않는 분들이라면 반품을 보내야 할 때 개별적으로 송장별로 반품 접수를 해주어야 합니다. 그냥 개인 간에 택배를 주고 받은 경우에도 아래와 같은 동일한 방법으로 반품 접수를 통해 돌려보낼 수 있습니다.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통의 경우라면 온라인 구입한 스토어에 문의를 남겨 반품 접수를 하면 자동으로 택배를 수거해갑니다. 하지만 특별한 상황이 있는 경우라면 직접 반품을 접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반품 접수를 하면 보통은 영업일 기준 2-3일 내에 택배 기사님이 회수해가십니다.

반품이 아닌 택배 보내듯 반품으로 보낼 수도 있는 것 아니냐 싶을 수도 있는데요. 일반 택배로 물건을 돌려보낼 경우, 출고지와 반품지가 다른 스토어들도 많이 있기에 향후 환불 진행에 문제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반품 접수를 통해 보내는 것은 원래 왔던 송장의 출고지, 혹은 설정된 반품지로 정확히 반품이 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일반 소비자 구매자의 경우라면 그냥 임의로 판매자 주소를 예측해서 발송하지 말고, 판매자와 반드시 사전에 이야기를 하고 물건을 반품 발송해야 합니다.

그럼 우체국 택배로 물건을 받은 경우 반품 관련된 사항들을 체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체국 택배 반품 보내는 방법

인터넷 우체국 사이트로 들어갑니다.

우체국-택배-반품-예약

상단에 보이는 메뉴에서 방문접수. 창구소포 하단 메뉴를 엽니다. 방문 접수 소포(픽업)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나오는 메뉴에서 “방문접수소포 반품예약”을 선택하세요.

로그인-비회원-신청

로그인을 하라는 창이 나옵니다. 우체국 아이디가 있는 경우라면 로그인을 하면 됩니다. 카카오/네이버로 간편 가입으로 진행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 소비자 입장에서 한 번 반품하는 데에 회원가입까지 하기는 꺼려집니다. 아래에 비회원 신청하기를 통해 회원 가입 없이도 반품 접수를 할 수 있습니다. 비회원으로 한 번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 회원으로 신청해도 진행 과정을 거의 비슷합니다.

정보-입력창

신청 비밀번호를 입력합니다. 기억하기 쉬운 번호 4자리를 입력하세요. 그리고 방문소포등기번호란에 본인이 받은 우체국 택배 송장을 입력합니다. 그리고 받는 분 이름에 본인이 수령인으로 작성한 이름을 입력하세요. 해당 부분은 수취인 명으로 보통 인터넷 주문할 때 본인 이름이 아니게 한 경우도 있으니 처음 내가 주문할 때 수령인 명에 뭐라고 적었는지 확인하고 똑같이 적으세요.

다 작성했으면 등기번호 확인을 누릅니다. 그러면 받는 분 정보가 자동으로 입력이 됩니다. 그리고 신청하시는 분의 이름은 택배 회수를 위해 기사님이 방문하는 곳의 위치를 작성하면 됩니다.

만일 예를 들어, 집에서 택배를 받았지만 택배기사님이 회수 방문하면 좋겠다 하는 곳이 회사라고 한다면 반품 회수할 곳(회사)의 정보를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이메일은 필수 사항이 아니지만 작성해주는 게 좋습니다. 향후 접수 후에 관련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곳으로 접수 번호를 별도로 기억할 필요 없이 이메일로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품-정보-입력창

그리고 택배 관련된 물품 정보를 입력합니다.

방문접수 소포정보를 입력하는데, 이 부분에서 본인에 맞게 작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선불을 선택하면 택배 기사님이 물건을 회수해가면서 나에게 돈을 받아가게 됩니다. 만일 착불을 선택하면 물건을 원래 보냈던 사람(판매자)이 받으면서 지불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러니 소비자 입장에서는 반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보통 물건을 구입한 소비자 입장에서 반품을 보낸다고 하면 착불을 선택하고 물건을 보내면 됩니다.

그리고 향후 쇼핑몰에서 반품 택배비에 대한 사항은 조율하면 됩니다. 희망방문접수일까지 선택 후 다음을 눌러 반품을 진행합니다. 그리고 비회원으로 접수하였기 때문에 향후 접수가 잘 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할 수 있는데요. 반품 접수가 잘되었나 확인하기 위해서는 접수하고 나면 뜨는 접수번호를 통해서도 조회할 수 있기 때문에 접수 번호를 기억해두시길 바랍니다.

우체국 택배 반송장 확인 방법

이렇게 택배 반품을 접수하고 나면 반송장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3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1. 접수번호
  2. 등기번호(원송장 번호)
  3. 전화번호+비밀번호

가장 쉬운 등기번호(원송장 번호)를 통해 조회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원송장 번호는 원래 처음 택배를 받았을 때 송장 번호를 의미합니다. 그러니 본인이 받은 택배박스에 보면 적혀있는 송장 번호이니 가장 쉽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마찬가지로 인터넷 우체국 사이트에 들어옵니다.

우체국-택배-등기번호-조회

메인 화면 우측을 보면 배송조회가 있는데요. 여기서 원래 받았던 송장번호를 입력합니다.

반품-등기번호-조회

그러면 기존에 받았던 송장의 진행 상황을 볼 수 있습니다. 반품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원송장이라면 보통 배달완료가 되어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반품 접수가 되어 있다면 배달 완료 아래를 보면 “반품등기번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확인한 반품등기번호를 우체국 사이트 메인 화면에서 배송조회란에 입력해보면 배송 진행 상세 내역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반품 관련 정책

이렇게 반품을 진행하는 데에 알아두면 좋은 부분으로는 앞서 언급한대로 접수 후 영업일 기준으로 2-3일 내에 택배 기사님이 방문해서 회수해간다는 점입니다.

반품 관련 상세 우체국의 정책을 살펴보면,

반품-관련-절차-및-안내

반품 접수는 언제든 가능합니다. 만일 방문 접수를 하는 경우라면 우체국 영업시간 내에서 우체국에 방문해서 가져다줘야합니다.

그리고 지역이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보통 우체국 택배 기사님은 토요일에도 배달업무를 하십니다. 그렇기에 토요일에도 회수를 해갈 수 있다는 부분은 알아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보다 더 상세한 정보 및 우체국 택배 반품 접수는 앞서 언급한 인터넷 우체국 사이트를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