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스 자동이체 설정하는 방법

토스 자동이체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토스 앱을 통해 원하는 통장에서 일정 주기로 자동이체가 될 수 있도록 설정할 수가 있습니다. 월세와 같은 매월 빠져나가는 금액을 자동이체 설정해두면 정말 편리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납부해야할 기업이나 자동납부가 아닌, 개인 간에 자동 이체를 설정해 둘 수 있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주기적으로 입금을 해야하는 건이 있다면 까먹고 놓칠 일이 없어 서로가 편리하다고 할 수 있는데요.

토스 자동이체를 설정하고 삭제도 언제든지 할 수 있습니다. 처음 설정하는 방법과 삭제하는 법, 알아두면 좋은 점들을 몇 가지 보도록 하겠습니다.

토스 자동이체 설정하는 방법

토스 자동이체 설정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계좌화면 [관리] ▶ 이체관리 [자동이체] ▶ [자동이체 추가하기]

단계별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토스뱅크-계좌-관리
이체관리-자동이체

토스에서 원하는 계좌를 선택하면 계좌번호와 잔액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계좌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있는 [관리]를 선택합니다. 관리로 들어가서 화면을 내리다 보면 나오는 메뉴 중 [자동이체]를 볼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추가하기
토스-자동이체-추가-화면

자동이체를 선택하면 현재 설정되어있는 자동이체 목록을 확인할 수 있고 화면 하단에 [자동이체 추가하기]가 있습니다. [자동이체 추가하기]를 선택하면 받는 사람, 금액, 이체 주기, 출금 계좌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체 주기는 매월/매주/매일 송금되도록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혹은 1회 단발성으로 자동이체가 되고 끝나도록 세팅할 수도 있습니다. 1회 단발성 자동이체의 경우에는 향후 꼭 송금을 해야하는 중요한 건이 있다면 사용하면 좋은 기능입니다.

자동이체-추가-설정
자동이체-약관-동의

그리고 화면을 내리면 추가 설정 부분에서 첫 이체일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받는 분에게 표시되는 내용에 이체 될 때마다 통장 내역에 받는 사람이 확인할 수 있는 문구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일반 송금과 마찬가지로 한글은 7글자까지 설정이 가능합니다.

시작일과 종료일을 설정할 수도 있으며, 이체 하루 전에 미리 알림이 오도록 설정해두면 토스 앱에서 알림이 와서 보내는 사람인 내가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모든 설정이 완료 되었다면 [추가하기]를 눌러 약관 동의를 한 후 보안비밀번호 혹은 지문 인식을 통해 토스 자동이체 설정을 마칠 수 있어요.

토스 자동이체 삭제하는 방법

자동이체를 해지하는 방법은 설정할 때와 마찬가지로 계좌화면 [관리] ▶ 이체관리 [자동이체] 경로로 진입합니다. 자동이체 화면에서 우측 상단에 있는 [삭제]를 눌러 간단하게 삭제할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목록
자동이체-수정-삭제

기존에 설정되어있는 자동이체 목록 중 삭제하고 싶은 이체를 선택합니다. 우측 상단에 보이는 [삭제]를 누르고 나오는 확인 화면에서 [삭제]를 한 번 더 누르면 자동이체가 해지됩니다. 설정하는 것보다는 훨씬 간단하죠.

토스 자동이체 알아두면 좋은 사항

설정 후 첫 송금

토스 자동 이체를 설정하면 첫 송금이 되는 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늘부터 자동이체를 원하여 설정을 하면 당일은 자동이체가 되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매월 25일 송금이 되도록 설정하고 싶은데 오늘이 25일이라면 자동 이체는 다음 달 25일 부터 송금이 됩니다. 따라서 당일은 평소대로 송금을 하고 다음 달부터 자동으로 송금이 된다고 생각하면 되겠습니다. 이 부분은 자동이체 설정할 때 나오는 첫 이체일을 확인하시면 정확한 날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자동이체 시간

토스 자동이체 설정하면 일반적으로 오전 9시 내외로 송금이 됩니다. 상황에 따라 11시 이후가 될 수도 있다고 하는데, 보통 9시를 전후로 송금이 되고 오전 내로는 송금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관심사의 글

토스 증권 주식 모으기 매수 금액/시점/수수료/환율 알아둘 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