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마켓 옥션 ESM 서버 이용료 제도 상세설명

지마켓 옥션 ESM 서버 이용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마켓과 옥션을 통해 판매자로 활동하는 분들이라면 미리 알아두면 좋은 사항으로 판매액에 따른 서버 비용이 든다는 점입니다.

ESM에서는 이를 “판매 서비스 이용료”,”서버 이용료”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비용 지출이 일어나는 부분을 잘못 생각하고 마진 설정을 잘못하면 안 파느니만 못하기 때문에 서버 비용을 미리 체크해두시길 바랍니다.

ESM 서버 이용료 기준

모든 판매자가 이를 부담하지는 않습니다. 판매액이 어느 정도 되는 판매자들에게만 부과가 됩니다. 부과 대상 및 요금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서버비 부과 최소 기준판매 서비스 이용료
월 매출 500만원 이상55,000원(VAT 포함)

전월 기준으로 매출이 500만원 이상이 되는 판매자에 한해 서버 비용이 부과됩니다. 부가세 포함 55,000원이기에 매출액을 기준으로 보면 1%로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서버 이용료는 2024년 6월부터 시행이 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이미 모두 적용이 되어있는 상태입니다.

월 매출 계산

월 매출은 “판매 상품 대금”을 기준으로 계산이 됩니다. 배송비는 포함이 되지 않습니다.

배송비를 따로 설정하지 않고 상품에 배송비를 녹여 무료 배송으로 판매를 하는 분들이라면 유료 배송으로 바꾸는 부분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매출 500만원 언저리라 서버 이용료를 지불한 후에 반품, 환불로 인해 매출이 500만원이 안된다고 하더라도 이미 지불한 서버 이용료는 반환되지 않습니다.

서버 이용료 지불 방법

그렇다면 이렇게 부과된 판매 서비스 이용료는 어떻게 차감이 될까요? 비용은 판매 예치금에서 차감되는 방식으로 빠져 나가게 됩니다. 그렇기에 판매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셀러라고 한다면 별도로 돈을 내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판매 예치금이 부족한 경우에는 다음날부터 매일 비용 처리가 되어 55,000원이 나갈 때 까지 판매예치금에서 차감됩니다.

납부한 서버 이용료 확인 방법

서버 이용료를 납부 했다면 ESM 에서 납부한 내역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1. 정산 관리
  2. 세금계산서 내역
  3. 서버 이용료
ESM-서버이용료-확인

좌측 카테고리에 정산관리 ▷ 세금계산서 내역 ▷ 상단 탭 서버 이용료 로 들어가서 날짜를 선택하면 서버 이용료 비용 지출 내역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하시어 온라인 판매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비슷한 관심사의 글